'작성중'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작성중

일제 식민지시대 물가 등 정리(작성중)

2021. 5. 28.

1920년대 1원은 현재 3-5만원 정도. 

 

1920년대 월수입 

은행, 관청, 동양 척식주식회사(고급월급쟁이), 신문기자  : 6-70원

대학, 전문학교 졸업자 평균 : 4-50원

많지 않은 월급 수준 (오늘날 중소기업), 보험회사직원, 전문학교 이상 졸업자가 지원하는 혼마치의 최고 여성 직장인 백화점 숍걸 : 2-30원

1935년 톱스타 여가수 왕수복 월수입 800원

 

물가

쌀 한가마 (80kg) : 18-20원 (지금보다 비쌌음)

구두 한 켤레 : 3원

이발료 : 45전

난방비(장작값) : 월 6원

전등료 : 1원

 

교육비

동경 유학비 : 월 25원

보통학교 교육비 년 16원. 월사금이 월 1원. 

고등보통학교 5년 전문학교 3년 코스의 경우 월평균 30원. 

보통학교(6년. 실제로는 4년이 많았다.) 경쟁률 10:1

고등보통학교(5년) - 보통학교 졸업자 20%진학. 1930년대말 기준 전국에 42개교가 있었다. 고보졸업자의 20%가 대학이나 전문학교에 진학. 

경성제국대학예과 : 9개 제국대학 중 하나. 식민지시대를 통틀어 조선인은 경성제대 예과에 800명 남짓 입학. 경성제일고보에서 한 해에 7,8명 입학. 1925년의 경우 전체고보졸업자 중 51명이 예과에 입학. 

전문학교 : 관립전문학교(경성법학전문, 경성고등공업학교, 수원농림전문, 경성고등상업, 평양의학전문, 대구의학전문, 부산고등수산, 경성광업전문), 사립전문(연희,보성, 이화, 명륜, 세브란스의전, 불교전문, 숙명여전, 대동공업전문 등) 1925년 기준 전문학교 졸업생은 전국 200명 남짓이다. 한 학교에서 30명 정도가 졸업했다. 당시 인구는 남북한 전체 합쳐 2,000만 명 정도이다. 

 

 

집값

1920년대 초 서른 평 평균 900원 (서울)

1930년대 문화주택 서른평 6,000원으로 폭등

초가집 방 한 칸 전세 70-80원

방 2-3개+마당 전세 2-300원.

초가 한 칸 월세 월 3-5원 (삼청동, 사직동)

기와집 한 칸 월 5-7원

 

 

 

http://www.yes24.com/Product/Goods/3497674

 

경성 리포트

‘모던의 유혹과 차별’의 경계에서 본 식민지 일상의 단편들‘부끄럽고 기억하기 불편한 역사’로 남아 있는 일제하 식민지 시기를, 당시를 살아간 사람들의 일상의 모습과 관념, 욕망 등을

www.yes24.com

 

(광고) 고교수학 기본서는 미니멈수학입문시리즈입니다. 수학(상), 수학(하), 수1, 수2 교보문고, 알라딘, 예스24에서 판매중입니다. 

댓글

용어집(작성중)

2020. 6. 30.

30 year's war : 1618-1648년 사이 독일 지역에서 벌어진 종교전쟁. 1555년 아우구스부르크협약에 의해 독일 내의 각 주의 종교는 그 주의 군주가 정하도록 했다. 그런데 신교도 주인 보헤미아를 가톨릭 군주가 상속하게 되자 보헤미아 사람들이 저항하여 발생한 국제 종교 전쟁이다. 1648년 베스트팔렌조약으로 가톨릭 군주인 신성로마제국황제가 신교도 지역을 상속하지 못하도록 하여 독일이 영방국가로 분열되는 계기가 된다. 이 전쟁으로 독일 지역 인구가 70% 감소했다.   

adiaphora : 대수롭지 않은 문제들. 개신교 신자들이 의견 불일치를 받아들여야 하는 신학 영역을 뜻하는 멜란히톤의 용어. 

antilegomena : 초대 교회에서 일부만 받아들인 성경. 그 중 정경으로 들어온 것은 히브리서, 야고보서, 요한이서, 베드로후서, 유다서, 요한계시록이 있다. 

buggy : 말 한 마리가 끄는 마차 (19C. 새커리, '허영의 시장')

chantry : 성당의 죽은 자들을 위한 제단

chaperon : 파티장에 가는 젊은 여자를 보호하는 여자

claret : 영국에서 보르도와인을 부르던 말. 주로 상류층들이 선호했다. (19C, 새커리, '허영의 시장') 

cliffhanger : 연재소설, 텔레비전 연속극 등에서 각 에피소드 끝에 긴장과 기대를 자아내는 장면을 넣는 기법. 토마스 하디의 첫 연재소설 「푸른 눈동자」에서 제21 에피소드 끝나기 전 주인공 헨리 나이트가 바닷가를 걷다가 미끄러져 절벽에 매달리게 된 데서 유래된다. 

college:  대학(university)에 설치된 기숙 시설. 파리대학과 옥스포드대학에 처음 설치되었다. 북유럽최초의 대학인 볼로냐대학(1088-)에선 교수단을 콜레기움(collegium)이라고 하고 학생 단체를 유니베르시타스(universitas)라고 했지만 파리대학이 생긴 이후로 왕이나 교황이 설립한 학생들의 기숙 시설을 뜻하게 되었다.  가령 파리의 소르본은 칼리지의 이름이다. 학위를 통과하기 위해서 칼리지에서 학생들은 사비로 학자들의 튜터링을 받았으며 차츰 유니베르시타스에서 행해지는 강의는 인기가 없어졌다. 나폴레옹이 파리대학의 칼리지 시스템을 없앤 이후로 옥스포드대학과 케임브리지대학에만 옛 칼리지 시스템이 남아있는데 이것도 칼리지와 유니베르시타스가 강사들과  시설을 공유하는 형태로 변형된 것이다. 콜레쥬 드 프랑스(College de France)는 1530년에 프랑스와 1세가 파리에 설립한 학위 과정이 없는 공개 강연장이다. 프랑스나 영국엔 고등학교이지만 칼리지란 이름을 붙인 경우가 있다. 이튼 칼리지 등.           nation 참조

complete : 없는 것이 없는
count palatine : 독일어로 Pfalzgraf. 왕의 영지 관리인(백작). Pfalz는 중세에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 왕궁.

civilization : 1752년 튀르고가 처음 고안. 1756년 Gabriel Riqueti의 아버지 미라보 후작 Victor Riqueti가 처음으로 책에 사용. barbarity의 반댓말 civility 교양

deus ex machina : 기계장치로 온 신. 만능해결사란 뜻. 고대 연극에서 신을 등장시킬 때 기중기 같은 것을 이용한 데서 비롯됨. 

devshrme : 오스만 제국에서 발칸반도, 소아시아의 그리도교 8-18세 남자 아이를 군인(예니체리)으로 강제 징집하던 제도. 14세기 무라드 1세때부터 시행되었으며 그리스도교도들에 대한 회유책이었다. 징집을 당하면 이슬람교도로 개종해야 했고 결혼을 못했지만  신분 상승이 가능했고 높은 연봉을 받았다. 오스만 제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6세기 중반부터 권력을 장악했고 17세기에 이 제도는 폐지된다.  

Eau de Vie :

emir :이슬람권의 장군, 왕족

Etzel : 훈족의 아틸라를 독일 지역에서 부르는 말. 아틸라는 독일 여인 힐디코와 결혼 후 죽었는데 니벨룽겐의 노래의 크림힐트와 연관이 있다. 

Elysium : campus elysium은 엘뤼시온 들판으로 평화의 땅을 의미한다. 호머의 오딧세이에서는 메넬라오스가 약속받은 땅이다. 프랑스식으로는 샹젤리제(Champs Elysees)로 쓴다.  

high church : 고교회파. 영국 국교회 내에서 주교 제도와 예배 의식을 중시하고 국교회와 가톨릭교회의 역사적 연속성을 강조하는 사람들을 지칭한다. 

imperator : 황제. 로마제국은 공화정 이전의 독재 시대에 대한 안좋은 기억 때문에 왕이라는 표현을 피했다. 그래서 '명령을 내리는 자'라는 뜻의 단어를 지도자의 호칭으로 사용했다. 

jizya : 무슬림 지역의 비무슬림들이 내야하는 토지세

juncherre(융커) : 엘베강 동쪽의 프로이센지역의 농조지역의 지주를 일컫는 말. young nobelman이라는 뜻. 

markgraf : mark는 국경을 뜻한다. graf는 샤를마뉴대제가 파견한 지방 관리를 뜻하는데 서양 귀족 제도를 메이지 유신 때 받아들인 일본에서는 동양 귀족 서열에서 백작으로 번역됐다. '변경백'이라고 번역되는데 국경 백작이라는 뜻이다. 샤를마뉴대제 때 국경 정복지에 설치되면서 시작되었다. 오스트마르크(오스트리아), 노르트마르크(브란덴부르크), 마이센, 바덴 등이 대표적이다. 서열은 Herzog(공작)과 동급이다. 영국,이탈리아, 프랑스에 도입되어 Marquis(후작)이 되었다.  

minister: pastor와 함께 영국에서 비국교파 목사를 이르는 말. 국교회 목사는 clergyman, parson,rector,vicar 등이 있다.  미국에서는 개신교 목사 전반을 가리킴. 

nation : 중세 유럽 대학(university)의 학생 기본 구성 단위. 북유럽 최초의 대학인 볼로냐 대학에서 시작됐다. 크게 네 개의 nation이 있었다. 롬바르드 학생단(Lombard nation), 투스카니 학생단(Tuscan nation), 로만 학생단(Roman nation), 그리고 유학생단(Ultramontane nation: 알프스산맥 남쪽으로 왔다는 뜻). 1088년에 세워진 볼로냐대학은 기숙시설(college)이나 고정된 건물이 없어서 만들어진 조합이다. 15세기에 이 단어는 정치적으로 행동하는 신분인 귀족계층을 의미한다. 

orthodox : 정교. 유대교가 바른 실천을 강조한 것(orthopraxy)과 대비되는 초기 기독교의 특징으로 교리에 대한 강조를 나타냄. 

palimpset : 파피루스에 적힌 것을 지우고 다시 쓴 것

primus inter pares : 왕중왕. 서양 근대 국가 시대 이전의 왕

redeem : 전당포에 맡긴 것을 찾아오다. 보완하다. 죄에서 구하다

religio licita : 로마제국이 인정한 합법 종교. 유대교는 합법 종교였고, 초기 기독교는 아니었다가 313년에 합법 종교가 된다.  

rheto [고대그리스어] : 정치인. rhetoric의 어원

rubric : 채점기준표

superintendent : 북독일과 스칸디나비아에 있는 가톨릭의 주교에 해당하는 교회 직분. 감리교에서도 다양한 의미로 쓰이는 용어인데 미국감리교의 경우 지역 감사관의 의미로 쓰인다. 

trireme: 고대 그리스의 삼단노선. 제작비가 1달란트이다. 

 

 

 

 

 
 
 
 
 
 
 
댓글

환전소 - 장기에 걸친 유럽의 역사적 화폐가치(작성중)

2020. 6. 15.

회계 단위

1리라(리브르)=1파운드=1쾰른 마르크 = 1굴덴 : 은 325그램에서 시작하여 화폐 단위로 정착
1리라 = 20솔도, 1솔도 = 12데나로(드니에)=1수.
Ex1) 17세기 초 10솔도로 아주 검소한 하루 끼니를 해결할 수 있을 정도.(이탈리아 북부). 포도주 1L 1.5-3 솔도. 빵 500그램 5솔도.
Ex2) 혁명 전 프랑스의 숙련공 하루 일당은 1리브르, 즉 20수.
Ex3) " 조선공 한 사람의 임금이 바르셀로나에서는 1784년의 20수(카탈루냐 수)였던 반면 카디스에서는 28수, 서인도로 항해히는 선박 위에서는 37.5수 그리고 아바나 에서는 112수(3페소 푸에르테)였다" 피에르 빌라르
1파운드 = 20실링, 1실링 = 12페니.
Ex)18세기 초 1파운드는 현재 100파운드 정도로 어림 계산
1굴덴 = 20 그로쎈, 1그로쎈 = 12페니
Ex) 1434년 석공의 일당은 8그로소. 일용직 4그로소 반

데나로, 그로쏘, 페니도 원래는 동전 이름이었으나 동전은 없어지고 회계 단위가 됨

주요 동전
- 카룰로스 대제 (781-794)때 무게 1 리라(libbra, 영국 무게 단위로 1파운드)의 은으로 240개의 데나로 동전(은 1.7g)이 주조됨. 이 때부터 '리라'라는 회계 단위 등장.
- 1194년 grosso : 베네치아, 제노바에서 주조된 순도 높은 큰 은화(1.5-2g). 마르세이유 1218, 피렌체 1230, 잉글랜드 1350년에 주조됨.
- 1252 플로린(피오리니) 금 3.5그램. 동로마제국의 금화인 베잔트화, 중동의 금화인 만쿠스화를 대체하기 위해 만듬.
- 1284 베네치아에서 플로린을 따라서 두카트화를 만듬. 플로린은 중북부 유럽에서 주로 쓰이고 두카트화가 인기가 있었음. 1두카트는 2리브르 = 40솔디. Ex) 1578년에 보댕에 의하면 포르투칼에서는 면도비가 연 15 두카트로 프랑스의 6배였다.
- 스페인의 경우 14세기 말 레알화가 은 3.4그램( 2 데나로)
- 페소, 탈러 : 은 27그램으로
- 1탈러 = 24그로쎈, 1그로쎈=12페니히 Ex) 1700년에 병사는 연 10탈러를 받음. 18세기 초 닭 한 마리는 2그로쎈, 수말은 20탈러.
- 에큐(프) : 4.06그램 금화 = 6리브르. 루이는 24리브르.
- 크라운은 5실링 동전, 기니는 21실링 동전
- 금과 은의 양 금속비는 1:12. 금이 은의 12배.

더 이전으로 가면 (기원 전후)

금은 은의 15배 가치를 가진다.
1드라크마 = 1데나리온 : 3.8그램 은화. 1일 품삯. 이틀에 하루 일한다고 보면 됨. 즉, 하루 번 돈으로 다음 날까지 쓴다.
참세 두 마리 = 1/16 데나리온
금 1세켈(shekel) : 노동자 4일 품삯. 세켈은 밀 180알의 무게로 은 1세켈은 8그램이 조금 넘는다. 은 60세켈인 1미나 단위로 거래되었다. (약 500그램) 세켈은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한다.

  • 귀족이 평민의 뼈를 부러뜨리면 은 1미나를 지급한다.(함무라비법전)

은1달란트 = 6000드라크마. 그리스의 삼단 갤리선 1척 건조 비용. 금의 경우 금 1달란트라고 한다.

  • 기원전 2세기 유대인 노예 9명의 도매가격이 1달란트, 방어성 하나에 대한 랜섬이 100-500달란트(전쟁비용)
  • 기원전 5세기 델로스동맹은 매년 5-600달란트를 모아 아테네 파르테논 신전에 국방비로 보관했다.

Text:
17세기
피렌체 : 일용직 원수입 300솔디 정도.(15리라)
영국 : 뉴턴의 대학 연봉은 60파운드. 그밖애 튜터 교습비 등이 있었다.

18세기 중반
***영국 : 아담 스미스는 글래스고우 학장시절 연봉 150파운드를 받음. 가정교사로 이직하고 연금 300파운드를 받음. 런던에서 8개의 방이 있는 집을 빌리는 데 연간 200파운드가 들었다. 로마 중심가에서 같은 조건이면 12파운드면 됐다. 콜리지는 그 당시 한 사람이 사람답게 살려면 250파운드가 필요하다고 했다.캔터베리 대주교의 연봉은 7천 파운드의 연봉을 받음. 보통의 주교는 3-400파운드를 받았다. 하급 성직자들은 30-50파운드였고 부제는 30파운드 미만이었으므로 다른 일을 병행해야했다. 비숙련노동자 주급은 5실링(지금 200파운드)으로 로빈슨 크로소우 초판 가격이다. 집안 하인의 1년 급료는 7-8파운드. 도서대여점 연회비는 12실링-1파운드.빵 한덩어리는 2.5펜스

***프랑스 :

"나는 아브빌의 방직공입니다. 아내와 함께 공장에 다닙니다. 열 살 짜리와 여덟 살 짜리 아이 둘을 기릅니다, 일주일에 엿새를 일하는데, 내가 하루에 20수(1리브르), 아내가 하루에 5수를 법니다. 일주일에 겨우 7.5리브를 법니다. 그 돈으로 집세, 식비, 옷, 광열비를 내면서 계산상으로는 일주일에 1리브르 정도 저축할 수 있겠지만, 누군가 아플 때도 있으니 돈을 모으기란 불가능합니다."(주명철, '계몽과 쾌락' : 이 가족의 경우 일주일 빵값은 2리브르 2수 정도였다.)

"물지게꾼은 파리에 2만 명 정도 있었다. 하루에 30번 정도 물을 나른다. 7,8층 되는 경우도 있고 한번에 1.5-2수까지 받는다. 2수를 받고 30번 오르내리면 3리브르를 번다."(주명철, '계몽과 쾌락')

"프랑슈 콩테의 젊은 귀족은 연봉 300리브르를 받으려 군인이 되었고, 육군 소위 브라즐로뉴는 원호연금 500리브르를 받으며 힘겹게 살았다. 당시 숙련 노동자가 하루에 1.5리브르를 벌었고, 인쇄공은 하루 2리브르 이상을 벌었다. 1년에 280일을 일해도 400리브르는 벌었다. 스트라스부르의 주교는 1년에 40만 리브르를 받았고, 재판장 몰레는 해마다 거의 35만 리브르를 받았다. 오를레앙공은 1740년에 금리 200만 리브르를 받았고, 혁명 전의 콩티공의 수입은 370만 리브르였다."(주명철, '계몽과 철학')


"코메디 프랑세즈 극장은 1716년부터 1782년 사이에 입장료가 거의 변동이 없어서, 가장 싼 자리가 1리브르에서 1.5리브르, 칸막이 좌석은 4-6리브르였다. 1760년대부터 생긴 로열박스는 연간회원권이 500리브르, 평생회원권이 3,000리브르였다."(주명철, '계몽과 쾌락')

콜베르는 여러 분야의 징세권 패키지를 경매에 붙였다. 예를 들면 소금세, 특별소비세, 소득세를 묶는 등. 1726년 경에는 6년에 한번씩 입찰을 갱신했다. 국가는 이 제도로 수입의 41-46%를 충당했다. 입찰보증금이 100만 리브르나 됐고, 1768년에는 156만 리브르였다. 징세업자는 왕에게 대출도 해주었다. 1755년에는 6,000만 리브르, 1768년엔 7,200만 리브르였다. 이자는 6%정도였다. 징세업자는 모두 40명이었다가 최대 87명까지 늘었다. 이들은 고정급 24,000리브르, 업무추진비 4,200리브르, 출장비 1,500리브르를 받았다."(주명철, '계몽과 쾌락')

***독일권
1773년 빈에서 피아노값은 300-700플로린. 고위직인 궁전 고문관의 연봉은 4,000플로린

19세기
1800 파리노동자 일당 7프랑. 샤르팡티에 문고판 3.5프랑
1824년 빅토르 위고가 파리의 작은 방 여섯 개, 하녀방, 호화로운 수세식 화장실이 딸린 집의 1년치 집세 625프랑. 값싼 식사 한 끼는 1프랑.

1830 런던의 숙련공 주급은 30실링. 수직공은 5실링. 저가 소설책은 5실링=60파운드

 

1831 파리에서 어지간한 부르주아로 살려면 한 해 6,000프랑이 필요했다. 숙련노동자는 1,000프랑을 벌기가 어려웠다. 

1868 파리 중간 계급 월 수입은 400프랑. 런던은 연 1,000파운드

1841 아일랜드 우체국 직원 연봉 140파운드. 하급장교 200파운드.

 

19세기 중반 미국의 중하위노동자는 주급 20달러를 벌었다 ㄷ학교수 연봉은 1,500달러. 일반적인 변호사의 연봉은 4,000달러

 

20세기

1911 1파운드=현재 100파운드 

 

(광고) 고교수학 기본서는 미니멈수학입문시리즈입니다. 수학(상)수학(하)수1수2 교보문고, 알라딘, 예스24에서 판매중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