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일지/역사'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독서일지/역사

이사야 벌린, 리가, 칼리닌그라드, 발트해

2022. 2. 3.

"쾨니히스베르크[지금의 러시아 칼린그라드]에는 영국과 스코틀랜드의 계몽주의가 잘 알려져 있었다. 이러한 사정은 영국 해군이 전함 돛대의 재목으로 유연하면서도 튼튼한 목재를 썼다는 사실과도 무관하지 않다. 이런 용도에 적합한 것은 무역의 중심지인 쾨니히스베르크로 들어오는 발트 해 연안 지방의 목재였다. 이것은 항구에 주둔한 강력한 영국 해군을 위해 쓰였고, 늘 그렇듯이 상업적인 용도로도 전용되었다."(「저먼 지니어스」, 피터 왓슨)

 

쾨니히스베르크에는 많은 외국인들이 드나들었는데 칸트(1724-1804)의 가장 친한 친구 3명 중 한 명인 조지프 그린은 영국 상인이었다.  또다른 두 명은 조지프 그린의 동업자인 로버트 마더비, 시청 형사 테오도르 고트리프 히펠이었고 칸트는 이들과 농담하고 잡담하며 당구도 치며 보내는 시간을 즐겼다. 칸트는 40대 중반 정식 직업[대학교수]을 갖기 전 반백수 상태에서 당구로 부수입을 올릴 만큼 당구 실력이 좋았다.  특히 조지프 그린은 헐(Hull) 출신의 영국 상인으로 청어, 곡물, 석탄 등을 교역했는데 칸트의 자산 상담도 해주고 칸트와 흄, 루소 등에 대해 많은 대화를 나누고 쾨니히스베르크에 틀어박힌 칸트에게 외부로의 창문이 되어 주었다. 스웨덴보리라는 신비주의자의 책을 읽은 칸트가 그 사람이 제정신인 사람인지 만나보고 오라고 부탁했을 땐 그 임무도 수행했다.  '순수이성비판'(1781) 초고도 함께 윤독하기도 했다. 사실 칸트의 규칙성은 조지프 그린에게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1786년 그린이 죽었을 때, 칸트는 매우 슬퍼했다.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은 같은 쾨니히스베르크의 요한 게오르크 하만의 집요한 노력과 중재로 출판되었는데 아무도 그 책을 출판하려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금의 라트비아 수도인 리가에 있는 출판사에서 그 책이 나왔는데 이사야 벌린이 태어난 곳이 리가이다. 영국의 헐, 쾨니히스베르크, 리가 모두 옛 한자동맹의 주요 도시들이다. 

 

이사야 벌린(1909-1997)은 당시 제정 러시아의 리가 출신 유대인이었는데 그의 아버지도 영국과 리가를 오가며 조지프 그린처럼 무역에 종사했다. "제정 러시아는 한자동맹의 무역 도시라는 리가의 옛 정체성을 굳이 바꾸려 하지 않았고 문화와 상업 수단의 언어로 독일어도 계속 사용되고 있었다."(「이사야 벌린」,마이클 이그나티에프) 1850년대 바그너가 리가의 오케스트라 단장을 지냈고 190년에는 브루노 발터가 지휘자로 일했다.

 

제정 러시아 시대  리가의 성골은 러시아황제에 충성을 다하는 독일계 토지 귀족들, 진골은 독일 무역상들, 그 아래로 유대인 상인들이 있었고 평민층은 게토의 유대인들과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라트비아인들이었다. 이사야 벌린처럼 영화 감독 에이젠슈타인도 리가의 유대인 상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하급 유대인들은 토지 소유, 김나지움 이나 대학 입학 등이 금지되었지만 이사야 벌린 집안 같은 상급 유대인들은 그런 법률이 적용되지 않았다. 제정 러시아에서는 금지된 톨스토이를 읽을 수도 있었다.  이사야 벌린의 아버지 멘델은 랍비의 손자였고  주요한 유대 하시디즘인 루바비치 교파의 직계 자손이었지만  멘델의 젊은 시절 정체성은 러시아적인 것이었고 유대교적인 것이 아니었다. 하지만 멘델 벌린의 사업의 번창은 하시디즘 유대인 자본가 네트웍의 결과물이기도 했다. 이사야 벌린 자신은 그런 혈통에 대해 진저리를 치지만 20대 시절 옥스포드대학에서 동년배인 유대인 빅터 로스차일드의 학교(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까지 오갈 때 로스차일드의 경비행기를  이용할 정도로 친분이 있었던 것을 보면 이러한 집안 인맥이 작용한 듯하다.

 

1914년 7월 1차 세계대전이 터지고 독일어를 사용하던 리가의 유대인들은 동쪽으로 이주하도록 소개명령을 받았지만 이사야 벌린의 집안은 그럴 필요는 없었다. 1915년 독일 제국이 발틱해 연안을 봉쇄하자  아버지 멘델의 주 교역 제품인 목재를 서유럽으로 보내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그는 304제곱킬로미터에 이르는 삼림을 가지고 있었다. 벌린 집안은 페트로그라드로 이사를 한다. 

 

1917년 2월 혁명 당시 벌린 가족은 임시정부에 열렬히 환호했지만 권력이 의회에서 볼셰비키로 이동했다. 이 시기에 멘델은 어떤 영국 상인의 목재 운송을 포워딩해주고 받은 막대한 수수료를 런던의 한 은행에 예치해 둔다. 그 후 볼셰비키는 거주민 위원회를 구성하라고 했고 위원장은 보일러공이 맡았다. 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벌린의 가족은 마당을 청소하는 일 등을 하기 시작했다. 당시 이스라엘 건국에 관한 벨푸어 선언에 대해서는 벌린 가족들은 시큰둥했다. 볼셰비키는 멘델을 그의 삼림을 감독하고 정부에 목재를 공급하는 공무원으로 임명한다. 덕분에 멘델은 통행의 자유, 수색-체포 면제권, 식료품 쿠폰, 권총 등을 받는다. 벌린 가족은 여전히 음악당에서 세자르 프랑크의 심포니를 들으며 지낼 수 있었다. 

 

하지만 페트로그라드 거주 위원회에서는 사정이 더 악화되서 석탄의 부족으로 벌린 전 가족의 거주공간이 방 두 개로 축소됐다. 식량 사정도 악화됐다. 하지만 멘델은 그러한 궁핍함은 견딜 수 있었지만 레닌 정부의 비밀경찰(체카)들의 거들먹거림과 외부와 단절된 듯한 사회분위기를 참을 수 없었다.  당시 리가는 이제 독립 라트비아국의 수도였고 벌린 집안은 다시 고향인 리가로 이주를 한다. 이는 당시 볼세비키 정부도 용인한 정책이었다. 라트비아를 거친 후 벌린 집안은 런던으로 이주를 하게 된다.(1921) 이미 런던의 은행에 예치해 둔 돈으로 멘델은 전성기 때의 사회적 지위를 다시 회복할 수 있었다. 

 

가자마자 멘델의 아들인 이사야 벌린이 한 일은 런던의 입시 학원에 등록하는 일이었고 이사야는 명문고인 웨스트민스터에 가고 싶었지만 그건 학풍상 이사야 벌린이라는 이름을  로버트 벌린이나 제임스 벌린으로 바꿔야 가능했다. 결국 이사야는 유대인 쿼터제를 적용하지 않고 유대인 입학을 전면 허용하는 성공회 명문고인 세인트폴에 입학한다. 세인트폴에는 500명의 학생 중 70명 정도가 유대인이었는데, 성공회식 식사 기도 중에 입을 다문 채 있는 것이 허용되었다. 이사야 벌린은 주요 유대 명절은 지켰지만 유대교는 부인했고 종교적으로는 회의론자였다.  그는 옥스포드 명문 베이욜 칼리지에는 떨어지고 지금은 없어진 코퍼스크리스티 칼리지에 입학한다. 대공황 전까지 옥스포드 대학에서는 일종의 반항의 표지로 동성애가 유행이었다. 대공황 이후에는 정치와 경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갑자기 모두 공산주의에 몰려갔다. 그의 학교엔 정치학이나 경제학을 가르치는 사람이 없어서 정치학은 '더 타임스'를 읽고 독후감을 쓰는 수준이었지만 아무튼 이사야는 옥스브리지판 고시삼관왕인 우등졸업과 특별연구원 자격을 취득하며 가업 승계의 부담에서 벗어나고  영국의 최상위 엘리트코스를 밟게 된다.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aver?bid=6983535

 

이사야 벌린

아산 냉전자유주의 프로젝트 제1권『이사야 벌린』. 제정 러시아의 시대가 저물어가던 1909년, 라트비아의 리가에서 태어나, 1997년 영국의 옥스퍼드에서 세상을 떠난 유대인 출신의 정치철학자,

book.naver.com

 

http://www.yes24.com/Product/Goods/22492235

 

저먼 지니어스 - YES24

이 독일을 보라!칸트에서부터 헤겔, 니체, 프로이트, 마르크스, 아인슈타인…….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3세기 동안 무수한 성취를 남긴 독일 천재들,나치, 히틀러, 세계대전에 가려진 그 찬란한

www.yes24.com

 

댓글

겔프(Guelf) 혹은 웰프(Welf) 왕가

2021. 10. 4.

오늘날 독일의 니더작센 주를 중심으로 했던 왕가로 그 분파인 하노버 선제후는 1714년부터 영국의 왕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신성로마제국을 선출할 때 하노버 선제후국의 수장인 영국왕도 선거권을 갖는다.

12-13세기에는 슈봐벤 지역의 호엔슈타우펜 왕가(1152-1254)와 라이벌 관계였다.

슈봐벤지역은 오늘날 독일 남서부 바덴뷔템베르크 주 동쪽을 중심으로 한 역사적 지역을 말한다. 서쪽엔 슈트라스부르가 있는 프랑스의 알자스가 가깝고 동쪽은 바이에른이다. 남쪽은 알프스 너머 이탈리아가 있다. 두 신성로마제국 황제인 프리드리히 1세 바바로사(재위 1155-1190)와 프리드리히2세(1220-1250)를 배출한 호엔슈타우펜 왕조는 13세기에 끊어지고 슈봐벤 지역은 다른 왕가들에 의해 분할되고 해체된다.

벨프왕가는 대대로 이탈리아의 밀란 국경 백작령을 맡았던 오베르텡기 가문에서 유래하고 이탈리아의 에스티 가문이 본류이다. 벨프왕가는 에스티가문 출신의 바이에른 공작 벨프1세가 하노버 선제후령 및 바이에른과 니더작센 지역의 부른스윅,뤼넨버그를 획득함으로써 성립한다. 이탈리아의 에스티 가문은 교황 그레고리 9세가 1240년 벨프가문과 합작하면서 16세기까지 페라라를 지배한다. 이때 교황을 지지한 세력을 뜻하는 겔프파는 겔프 왕가와 관련이 있고, 신성로마제국을 옹호한 세력인 기벨린파의 이름은 호엔슈타우펜 왕가와 관련이 있다.

벨프 왕가는 하인리히 사자공(the Lion Heart)에 이르러 신성로마제국 황제인 호엔슈타우펜 왕가의 외사촌형인 프리드리히 1세 바바로사를 능가했으나 1180년 경쟁에서 지고 바바로사는 바이에른을 비텔스바흐 가문에게 준다. 웰프왕가의 땅은 브룬스윅과 뤼넨버그, 하노버 선제후령으로 축소된다.

1147-1149년 슈봐벤공작으로 삼촌 콘라트 3세 황제와 2차 십자군원정을 다녀온 호엔슈타우펜 왕가의 프리드리히 1세 바바로사(재위 1155-1190)는 알프스 너머 이탈리아에 관심이 많아서 1154-1183 사이에 6번이나 대규모 원정을 했다. 바바로사는 호엔슈타우펜 왕가에 속하지만 어머니는 웰프가문 출신이다. 독일 지역에서 이탈리아로 가기 위해서는 뮌헨-볼차노-베로나를 거쳐 로마시대부터의 루트인 해발 1,375미터의 브레너 고개를 넘어야 한다. 그런데 그 길은 바이에른쪽이다. 바바로사는 부르군트 프랑슈콩테 여백작과 결혼하여 이탈리아로 가는 우회로를 확보한다.

시실리왕국은 시실리섬과 남부 이탈리아반도를 포함한다.시실리왕국은 999년에서 1139년에 걸쳐 노르만족이 남부 이탈리아에서 이슬람과 비잔틴 세력, 교황 세력을 몰아내고 성립시킨 노르만왕국이다.







댓글

제1차 세계 대전과 미국의 반독일 정서의 발흥

2021. 10. 3.

 

"부어스틴에 따르면, '1880년대 미국의 야심 찬 젊은 역사가들과 정치학자들은 독일에 공부하려고 몰려갔다. 돌아올 때 그들은 박사학위를 가지고 왔다.'"(강준만, 미국사 산책 4)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1915년 5월 영국의 루시타니아호에 탄 미국인 128명이 독일의 U보트 공격으로 숨졌을 때도,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전쟁에 개입하지 않았다. 아일랜드계와 독일계는 미국이 영국과 동맹을 맺을까봐 걱정했다. 유대계 미국인 상당수가 독일계였는데 이들도 독일의 가족들을 걱정했고, 유대인을 가장 많이 탄압하는 제정러시아와 미국이 손을 잡을 것을 우려했다. 

 

독일이 무제한잠수함 작전을 벌이고 독일 외무상 짐머만이 멕시코에 보낸, 대미 전쟁을 부추기는 내용의 전문이 밝혀지자 1917년 4월 미국은 독일에 선전포고를 한다. 반독일 히스테리가 거세게 밀려왔다. 독일어 신문들을 폐간하자는 주장이 제기됐고 판매가 금지되기도 했다. 교육과정에서 독일어가 빠지는 학교가 생겼다. 도서관에서 독일어 책을 불태웠다. 델라웨어주, 몬태나주 등 몇 개 주에서는 독일어 교습을 금지시켰다. 대학에서도 독일의 위상이 쇠퇴했고 미국 문학이 탄탄한 위상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 1910년에 독일계는 500만 명이었고 이민자 그룹 가운데서도 가장 존경받고 높은 지위를 누린 집단이었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23594772

 

미국사 산책 5 - YES24

강준만 교수의 미국사에 대한 종합적인 소개강준만은 우리사회에서 다작으로 유명한 저술가이다. 18권으로 구성된 『한국 현대사 산책』과 10권으로 이루어진 『한국 근대사 산책』은 그의 자

www.yes24.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