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학'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해석학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서문을 읽기 전

2020. 6. 23.

서양 고대 그리스철학의 주제에서 시작하는 존재론의 '존재'는 existence의 번역어가 아니고 being의 번역어이다. 그리스어에서 existence에 해당하는 단어는 고대에는 'to stand out'의 의미였을 뿐이였고 오늘날의 '존재'라는 뜻은 그 단어에 없었다.

 

정의(Definition)는 최근류의 종차를 말해주는 것이고, 개념적 탐구는 이러한 정의적인 방법으로 그것이 무엇인지 규정하는 것인데 존재는 모든 류의 최상위류이므로 최근류가 없다. 따라서 정의될 수 없다. 

 

그런데 숫자가 존재한다, 내가 존재한다, 삼각원이 존재한다라고 할 때 존재의 의미는 다 다르다. 이것은 류의 단일성과는 다르다. 류의 단일성은 가령 '동물'은, 개는 어떠어떠한 동물이다, 치타는 어떠어떠한 동물이다, 사람은 어떠어떠한 동물이다라고 할 때 동물이다의 의미는 모두 같다. 이렇게 존재의 다르면서도 같은 단일성을 아리스토텔레스는 유비의 단일성이라는 특별한 단일성으로 보았다. 다른 류들은 개별적인 종의 차이를 삭제하면서 추상화된 것이지만 존재는 그렇지 않고 모든 차이성을 다 갖고 있다. 또한 류는 다른 류와 경계를 이루고 대비되지만 존재는 모든 존재를 포함하는 존재라는 점에서 초월적(transcend)이다.  

 

여기서 번역이 좀 필요하다. 존재는 모든 류의 최근류가 맞다. 그런데 유럽어에서 존재는 'being'(독일어로 seiend)으로 동시에 be동사와 관련이 깊다. 그래서

He is.

He is an animal.

That number is big. 

A mountain made of water is there.

등에서 존재(is 즉 being)의 의미는 각각 다르지만 그렇다고 동음이의어는 아니므로 유비적 단일성을 이룬다고 아리스토텔레스는 말한다.  

 

"서양철학에서 '존재'의 문제는 곧 존재의 의미로 쓰이는 'be(einai)' 동사의 문제인데, 서양에서는 be 동사가 '있다'(존재)의 의미와 '이다'(계사[,copula])의 의미로 함께 사용되므로 그만큼 존재의 문제가 더 복잡해 진다."(한자경,'실체의 연구'(2019) 61쪽)

 

이 언어적 차이를 잘 이해하기 위해선 우선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에 대한 참고가 필요하다. 

 

이기상의 역주(568쪽) :

"우리는 어떤 사람이 인간으로서의 예의를 지키지 않고 멋대로 행위할 때, "그 사람은 야만적이다"라고 말하면서 야만적 존재로서의 그 사람의 못된 측면들을 열거할 수 있다. 이렇듯 우리말의 일상적 사용에서도 어떤 것의 어떠함 또는 무엇임을 서술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다'를 '무슨 무슨 존재'라는 용어로 바꾸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이 용법이 우리말에서는 자세하게 드러나고 있지 않는 서술적 용법으로서의 '존재'의 의미이며,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의 서구 언어권에서는 이러한 '연계사[copula]'로서의 '존재'는 필연적으로 자명하게 '존재'의 의미 속에 포함되어 있다." 

 

aladin.kr/p/uFTSN

 

존재와 시간

〈존재와 시간〉은 하이데거가 2500년 서양 철학사를 상대로 논쟁을 걸고 있는 책이다.그는 서양 철학 전통의 일면적이고 일방적인 이성 중심적 논리를 비판하면서 서양의 합리성만이 유

www.aladin.co.kr

aladin.kr/p/5ejaP

 

실체의 연구

이화학술총서. 서양 고대부터 중세를 거쳐 근대 및 현대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를 대표하는 철학자들이 실체를 무엇으로 간주하는지, 존재의 궁극을 무엇으로 설명하는지를 밝힌 책이다.

www.aladin.co.kr

 

(광고) 고교수학 기본서는 미니멈수학입문시리즈입니다. 수학(상)수학(하)수1수2 교보문고, 알라딘, 예스24에서 판매중입니다. 

댓글

해석학적 해석학 hermeneutic hermeneutics

2020. 6. 19.

책을 읽다가 '해석학적'이란 말이 나오면 이 책 저책을 뒤지는데 해석학은 000이다라고 명쾌하게 정의해주는 것을 본 적이 없다. 기술로서의 해석학을 넘어 철학이 되어서인지 모르겠지만 해석학의 최근류가 존재하지 않아서인지 왜 딱 떨어지게 정의를 못해주는지. 그래서 일단은 인간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역사적 접근이라고 까지만 알아두기로 한다. 딜타이의 해석학의 의미인 것 같고 19세기말 과학주의적, 실증주의적 방법과 이상에 대한 반론의 의미가 짙다. 

 

 

댓글

정신과 자연

2020. 6. 19.

자연과학은 인간과 자연의 대화이고 인간의 이해에 대한 이해이다. 따라서 모든 과학은 이해에 바탕을 둔다. 

'독서일지 > 신칸트주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칸트주의 (브리태니커)  (1) 2020.06.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