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기다리며

2021. 9. 18.

무신론자들이 신의 부재를 여러가지 형태로 말하기 시작한 역사는 300년이 채 안됐음에 비추어, 2,000년 동안 예수님의 다시 오심을 기다리는 기독교인들은 무신론자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 충분히 이해하고도 남음이 있다. 심지어는 지루하기까지 하다. 

댓글

독일 낭만주의라는 보물섬

2021. 7. 8.

피터 왓슨의 '저먼 지니어스' 서문을 읽다가 독일 낭만주의의 풍부함을 발견했다.

 

닐 퍼거슨의 '제국'(2003)을 보면 과연 피터 왓슨이 말한 것처럼 '나치즘을 패배시킨 것이 영국의 자기 정체성의 일부'가 되는 과정이 어떤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을 유럽 진영에서는 혼자 치르면서 대영제국은 불과 한 세대 만에 파산했다. 덕분에 독일이라는 나라를 1871년에 만들게 된 심성상의 원동력이 된 낭만주의의 흐름들은 모두 마르크스, 혹은 히틀러에 이르는 길이라는 도식을 얻게 된다. 특히 영미 지식 세계의 식민지가 된 우리나라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19세기 중반 이후 화학, 전기 등에서 독일은 혁신을 주도했는데 주로 영미학자들이 쓴 과학사책에서는 길게 언급되지 않는다. 

 

빙켈만의 획기적인 저서 '고대미술사'가 나온 1754년부터 에르빈 슈뢰딩거가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1933년까지 독일은 지적인 측면으로 보자면 서구의 열등 국가에서 강대국으로 올라서면서 프랑스나 영국, 네덜란드, 나아가 미국보다도 사상의 영역에서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피터 왓슨, 저먼 지니어스)

 

1933년 1월, 히틀러가 총리가 되었을 때 독일은 지식의 측면에서 의심할 여지 없이 세계적인 강국이었다. (피터 왓슨, 저먼 지니어스)

 

또한 19세기 독일의 전성기에 앞선 독일의 문화적 전성기인 1780년 경부터 1806년경까지 프랑스 대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에 가려서 잘 보이지 않는다. 

 

독일낭만주의의 실천 속에서 독일에서는  낭만주의와 역사주의에 잘 어울리는 생물학과 역사학뿐만 아니라 물리학이나 수학의 어마어마한 발전이 이루어졌다. '히틀러에 이르는 길인' 이 낭만주의로부터 물리학이나 수학 등에 이르는 어휘들과 연결이 부르바키그룹에 의해서 지워지고 그 외형적 엄격함만 남아버렸는데 현재는 모두 그런 세계 속에 갇혀 있는 것 같다.  

댓글

영국의 성공회의 역사

2021. 6. 14.


관용령(The Toleration Act) 이전 고교회파시절(1530-1689)

헨리 8세(재임: 1509-1547)는 1530년대에 로마 가톨릭에서 이탈하고 수장령을 선포하여 성사 집전을 제외한 영적, 세속적인 측면에서는 잉글랜드의 교황이 되었다. 영국왕은 영국이라는 교회, 즉 영국 국교회의 수장이며 주교를 통한 성직자 임명, 로마 가톨릭적 전례의 형식 등이 유지된다. 이를 고교회파(High Church)라고 한다. 당시 칼뱅주의 신자들은 장로제, 총회제도의 채택, 전례의 혁신을 주장했는데 에드워드 6세(1689-1553)의 짧은 시기에 전례적인 측면에서 급격한 개혁이 있던 시기를 제외하면 메리 튜터(1553-1559), 엘리자베스여왕 (1558-1603), 제임스1세 (1603-1625), 찰스 1세 (1625-1649) 시기 모두 이런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또한 재침례파, 퀘이커 등 급진종파를 고려해서 칼뱅주의에서 감독제를 거부하는 독립파(회중파)에 속한 올리버 크롬웰의 군사 정권인 잉글랜드 공화국(1649-1660) 시절에 종교의 자유가 선포되긴 했지만 왕정복고 이후 다시 고교회파로 복귀해 찰스2세(1660-1685)와 제임스2세(1685-1688)의 시기로 이어진다.

교회 정치 제도와 전례의 문제는 부차적인 것으로서 주교직제와 같은 요소는 성경에 있는 것은 아니지만 지역 공동체가 합리적으로 받아들인 제도로서 폐지할 정도로 그렇게 나쁜 제도가 아니라는 것이 고교회파의 입장이다. 무엇보다 왕들은 그런 요소들을 좋아했다. 하지만 칼뱅주의자들은 성경에서 나오지 않은 요소들의 폐지를 필수적인 것으로 보았다. 예를들면 성직자는 로마가톨릭처럼 왕의 대리인 주교가 임명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마침내 가톨릭 신자를 자처한 제임스2(1685-1688)를 쫓아내고 칼뱅파 네덜란드의 윌리엄과 제임스1세의 딸 메리 부부가 왕위에 오른다. 이 과정을 명예혁명이라고 한다. 1689년 관용령에 의해서 오렌지공의 시대에는 삼위일체만 받아들이면 가톨릭을 제외한 어떤 예배도 자유였다. 이 시기엔 잉글랜드 국교회에 소속되지 않아도 무방하지만 정치권을 행사하기 위해선 국교회 소속이 되어야 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 국교회는 다른 종파처럼 하나의 교파에 불과하게 된다. 이때부터는 국교회가 아니라 영국성공회가 된다.

18세기 광교회파(Broad Church)와 이신론(Deism)

 

1640년대 영국의 왕립협회가 결성되었다.창립회원들은 모두 독실한 기독교인들이었는데 엄격한 칼뱅파와 왕들이 추구하는 고교회 사이의 제 3의 길을 걷고 있었다. 이들은 자연 세계는 이성이 확인할 수 있는 법칙에 따라 움직인다는 변증학(apologetics)이라는 신념 체계를 유지했고 이를 통해 하느님의 존재를 찾았다. 로버트 보일, 아이작 뉴턴 등이 왕립협회에 속했는데 그들의 친구인 존 로크가 이를 잘 표현했다. 그는 "계시를 지키기 위해 이성을 포기하는 것은 양쪽 불을 끄는 것과 같다."라고 믿었으며 에라스무스주의의 관용론을 받아들여  예수가 하느님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수용하는 것이 '에라스무스 최소'라 불리는 신앙의 핵심으로보고 나머지는 부차적인 문제로 분류했다. 존 로크가 생각하기에 부차적인 문제에 대한 싸움은 대다수의 사람들이 참여할 수 없는 지적 능력의 토대를 필요로 하므로 인류 모두의 신앙의 핵심이 될 수 없었다. 영국의 경험론을 받아들인 볼테르에 가서는 이것이 이신론(Deism)으로 변하고 계시의 비중은 훨씬 줄어든다.  볼테르는 영국식 광교파에서 불가지론자 사이의 길에 있었다. 당시 생토뱅의 베네딕투스회 회원들은 볼테르와 루소의 흉상을 세웠다. 하지만 프랑스에서 이성과 종교는 대립하는 양상으로 치달았다.

 

혁명기의 교회재산의 몰수는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납득할만한 것이었지만 주교구의 조정을 그럴 필요가 없었는데도, 성직자들에게 묻지도 않고 혁명 의회가 단행하자 문제가 생겼다. 160명의 주교 중 153명이 혁명에 등을 돌렸다. 볼테르주의는 이성 종교라는 희한한 형태로 나타났는데 볼테르와 라파예트의 초상화로 가톨릭 성물을 대체하는 식의 국가 행사 형태를 시도했다. 순교한 혁명가의 심장을 단지에 담아 제사를 벌이기도 했다. 이를 주도한 사람들은 오라토리오회나 베네딕투스회원이기도 했다. 한편, 프랑스혁명 즈음에 로마교황청은 그 수명을 다하고 있었는데 나폴레옹이 교황청과 손을 잡음으로써 부활한다. 그 상징적 계기가 나폴레옹 황제의 대관식(1802)이다. 혁명기의 이성 종교의 실험에 질린 당시 사람들의 심성은 샤토브리앙의 '기독교의 정수'(1802)의 가톨릭 낭만주의에 반영되었다. 

 

한편, 지리학, 천문학, 생물학 등의 발전은 성경 해석과 이성이 충돌하는 양상을 보이면서 존 로크가 추구하던 노선에 다른 측면에서 균열을 일으켰다. 그 결과 1820년대 슐라이어마허의 고등비평이라 불리우는 일종의 메타비평인 해석학(hermeneutics)이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다시금 추구하지만 다윈 등의 등장으로 1830년대 이후 유럽의 많은 사람들이 기독교에서 이탈한다. 

 

19세기 복음주의와 옥스포드 운동

1828년에는 영국에서 비국교도들도 공직자가 되거나 의회에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이어 가톨릭교도들의 신분도 정상화됐다. 1832년 참정권이 확대되고 선거구가 개혁됐는데 대체로 성공회에 불리한 내용이었다. 국가는 점점 성공회에서 발을 빼고 있었다. 이에 대한 성공회의 반응은 복음주의와 성공회-가톨릭주의였다. 

1830년대에 옥스포드 운동이이라는 방식으로 성공회-가톨릭주의가 대두됐는데 왕권신수설이 빠진 고교회파의 르네상스였다. 정부의 선거구 조정과 관련하여 주교구 몇 개가 합병되자 옥스포드대학에서 존 키블, 존 헨리 뉴먼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항의가 시작됐다. 이들은 동시에 친로마가톨릭주의자였다. 1830년대 말에는 자유주의 및 개혁정치인에 대한 반대와 반종교개혁성향으로 발전된다. 이 운동은 사제를 중시하는 신학과  케임브리지대학 캠던 건축 연구회가 주축이 되는 교회 건축 운동(the Ecclesiological Movement)의 형태로 나타났다. 그 결과 사제, 건축과 의례를 중시하게 된다. 성직자는 높은 단 위에 놓고 신자석은 발코니나 기부 특별석을 없애고 평등한 장의자로 바꾸는 이분적 구조로 배치하는 등 모든 요소에는 사제의례주의에 합당한 의미가 부여된다.  독수리상이 새겨진 독서대가 등장하자 이러한 의례주의(Ritualism)는 비판에 휩싸이게 된다. 1870년에 제단에 꽃병 사용이 합법화되었다. 제대 촛불은 1890년에 가서야 켤 수 있었다. 그 밖에 복장과 물건 등에서도 가톨릭보다 더 가톨릭적인 요소들이 도입된다. 1870년대에도 의례주의자들은 복음주의자들에 의해 법적 소송에 휘말리는 등 탄압을 받았지만 1890년대에는 탄압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  이후 가톨릭주의자 주교가 많이 임명되는 등 이들은 빠르게 성장한다. 의례주의는 시골까지 포함해서 모든 영국을 휩쓸게 된다. 성찬례가 주일 예배의 가장 중요한 중심으로 자리매김한 것은 2차 세계 대전 이후이다. 이 시기 정도부터 이런 것들은 모든 영국 국교회의 특징이 되었고 이런 특징을 이끌어 온 성공회-가톨릭주의라는 단어는 사라져 갔다.   

같은 시기에 생활 방식과 교리, 실천을 강조하는 복음주의도 성장한다. 이 중 클래펌파는 노예 무역 폐지에 앞장서서 1833년 노예제도는 대영제국에서 폐지되었다. 또한 성공회 내부에서 감리교의 등장으로  회심이라는 요소가 교인의 징표가 되고 회심을 이끌어 내는 것이 목회의 중심이 되었다. 또한 19세기초에 종말론의 요소도 복음주의의 큰 요소였는데 시오니즘 지지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성서가 문자 그대로 오류가 없다는 주장도 등장했다. 대표적인 인물은 조지프 베일리이다. 마침내 1848년 복음주의자 존 섬너가 캔터베리 대주교가 된다. 그는 전례에 있어서 형식주의를 반대했는데 복음주의자들이 대체로 이러한 로마가톨릭적요소를 종말론적인 해석과 관련하여 반대했다. 19세기말에 가면 복음주의는 의례주의(Ritualism)에 반대하는 말로 의미가 바뀌었다. 1960년대에는 미국 성공회에서 은사주의 운동이 시작된다. 이는 형식이 없는 예배와 찬양을 특징으로 하는데 성공회복음주의는 기도서 중심의 예배였다. 은사주의에서는 기도서 대신 파워포인트가 등장한다. 은사주의는 전세계적인 추세로 자리잡는다.

 

18세기의 합리주의적-자유주의적 전통은 어디에도 속하지 않고 광교회파로 남아 있었다. 이들은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적 전통을 이어갔고 이런 경향은 일부 고교회파 인사들에도 침투한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9340146

 

폴 존슨 기독교의 역사

역사가가 보여주는 새로운 기독교의 역사로마제국 변방, 유대교의 한 분파에 지나지 않던 기독교가 오늘날 어떻게 세계 종교가 되었는지 살펴본다. 또한 서양문명의 설립과 역사 발전에 기독교

www.yes24.com

http://www.yes24.com/Product/Goods/15683273

 

성공회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에서 펴내는 ‘A Very Short Introduction’ 시리즈 가운데 `성공회`를 다룬 저작. 옥스퍼드 커드스던 리펀 칼리지의 학장이자 성공회 사제인 저자 마크 채프먼은 그리스도교의 한

www.yes24.com

http://www.yes24.com/Product/Goods/67453425

 

영국의 종교개혁

본서는 맥클로흐가 영국에서 일어난 종교개혁에 대한 내용들 중, 특별히 헨리 8세로부터 시작된 잉글랜드 종교개혁의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물론 앞 부분에서 영국 이외의 종교 개혁에 대

www.yes24.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