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크마'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드라크마

달란트 : 마태오 25:14-30의 비유, 고전 그리스, 마카베오서

2020. 11. 21.

『라이프성경사전』(생명의 말씀사 2006)에 의하면, 은 1달란트는 6,000드라크마이다. 1드라크마는 노동자 1일 품삯이다. 

시오노 나나미의 『그리스인 이야기 2』에 의하면, 델로스 동맹 당시 주력 군함인 200인(170명 노병+30명 중갑보병 호플리테스) 승선 가능한 군함인 삼단 갤리선(트리에에스) 1척을 건조하는 데 1달란트의 비용이 들었다. 시오노 나나미는 1탈란트는 6,000드라크마로, 당시 직공의 월수입을 15드라크마 정도로 본다. 400년의 차이가 있지만 드라크마는 장기에 걸쳐 양 변동이 미미하던 금속을 바탕으로 측정된 안정된 통화로 노동자나 병사 1일 품삭이 맞고, 매일 일하지는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군함 한 척의 건조에는  6,000 맨데이가 소요된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참고로 유대의 금은 양금속비는 1:15이다. 별 얘기 없으면 은 단위 화폐이고 금인 경우는 금 200달란트 이런 식으로 말해 준다. 

 

  • 기원전 489년 페르시아제국에 배신한 식민도시 파로스섬을 공략하기 위해 배 60척을 동원했다. 그 때 파로스에 요구한 랜섬(합의금) 액수가 100달란트이다. 
  • 마라톤전투의 영웅 밀티아데스는 파로스섬 공략에 실패하자 사형 선고를 받는데 이에 대한 보석금으로 50달란트를 선고받았다. 나중에 페리클레스도 민회에서 잘못된 국가 지도에 대한 벌금으로 50달란트를 선고받은 적이 있다. 
  • 밀티아데스는 이 돈을 못 갚고 죽었는데 그의 아들 키몬이 대신 갚아야 했다. 키몬은 살라미스해전의 영웅이다. 이 때 아테네의 부자 정치인 칼리아스가 키몬의 누이와 결혼하는 대가로 대신 갚아준다.  
  • 아테네는 마라톤 전투 이후 페르시아의 반격을 대비해 200척의 3단 갤리선을 건조한다. 건조비는 200달란트이다. 이 돈은 칼리아스같은 귀족 부자들이 갹출해서 마련한다. 
  • 살라미스해전에서 패전한 후 에스더의 남편 크세르크세스는 살라미스해전의 명장 그리스인 테미스토클레스에 200달란트의 현상금을 건다. 
  • 아테네는 페르시아전쟁 승리후 델로스 동맹의 맹주로 파르테논신전은 산단갤리선 건조 등을 위한 델로스 동맹의 국방비를 보관하는 곳이었다. 이 기금은 매년 500-600달란트씩 적립됐다. 
  • 아테네는 기원전 439년 델로스동맹의 맹주로서, 말을 듣지 않는 도시국가 사모스를 삼단 갤리선 60척, 11,000명의 병력으로 점령한다. 이 때 아테네 지휘관은 페리클레스와 극작가 소포클레스였다. 그리고 전쟁 비용 1,400달란트의 배상을 요구했다. 약간 동쪽으로 가면 북이스라엘의 마지막 왕 호세아(기원전 732-기원전 722)가 강대국 앗시리아에 바친 조공이 금 10달란트, 은 1,000달란트였다. 
  • 전성기 아테네의 시민은 3만 명 정도인데, 거주민은 6-7만명이다. 1년 국고 수입은 3,000달란트 정도였다. 
  • 펠레폰네소스 전쟁 시에 아테네에 참전을 요청한 시칠리아의 조그만 도시국가 세제스타가 분담하겠다고 한 액수는 60달란트이다. 이에 아테네가 준비한 시칠리아 원정 비용은 군선 100척과 호플리테스 5,000명으로 3,000달란트였다. 동맹국 병사까지 합치면 6만 명 정도가 참전한다. 그런데 실제로 세제스타가 갖고 있는 군비 보유금은 30달란트였다. 
  • 시칠리아 원정에서 패전한 아테네는 시라쿠사에 배상금으로 2,000달란트를 제의했지만 거절당했다. 6만 명의 원정군 중 생존자 7,000명은 지하 갱도에서 죽을 때까지 노역하거나 노예로 팔려갔다. 
  • 아테네의 제1계급은 페리클레스,알키비아데스,소포클레스, 투키디데스 등을 들 수 있는데 각자가 1달란트 정도의 삼단 갤리선 한 척 정도는 만들 재력이 있었다. 

이제 외경인 『마카베오(상)(하)』에는 다음과 같은 단서들이 있다. 기원전 142년 즈음 전후다.

  • 하스몬 가문의 셀루코스왕조에 대한 저항은 안티오코스4세(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의 예루살렘 성전 유린(기원전 169년)에서 시작하는데 당시 예루살렘 성전에는 은 400달란트와 금 200달란트밖에 없었다. 과부들과 고아들을 위한 기금과 토비아의 아들 히르카노스가 맡긴 돈이었다. 
  • 당시 대제사장 오니아스의 동생 야손이 지배 왕조에게 대제사장직을 사며 내건 금액은 은 360 달란트 현찰 + 외상 80 달란트였다. 또한 학교설립허가를 150달란트에 산다. 
  • 성전에서 일하던 메넬라우스는 대제사장 야손의 심부름으로 에피파네스왕에게 가서 야손보다 은 300달란트를 더 바쳐 대제사장이 되었다. 
  • 안티오쿠스 에피피네스가 이스라엘 성전에서 꺼낸 간 금품은 1,800달란트였다. 
  • 마카베오의 세력을 토벌하려는 셀루쿠스왕국의 니가노르 장군은 유다인 포로사냥으로 로마인들에게 바쳐야하는 배상금 2,000달란트를 마련하고자 한다. 1,000명의 노예 상인들과 선물 계약을 체결하는데 유대 노예 90명이 한 달란트이다. 
  • 셀루코스 왕조에 대한 유대 민족 독립군 장군인 요나단을 트리폰은 화친인 것처럼 속여서 포로로 잡고 그 랜섬으로 100달란트를 요구한다. 트리폰은 100달란트를 받지만 요나단을 석방하지 않는다.  
  • 셀루코스 왕가는 하스몬 왕가의 요빠, 게젤,예루살렘 점령에 대한 대가로 배상금 500달란트와 별도의 세금징수세 500달란트를 요구한다.이에 대해 하스몬 왕가의 시몬은 요빠와 게젤에 대해서는 합해서 100달란트 정도에 합의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그 밖에

기원 66년 총독 플로우스(Gessius Florus)가 예루살렘 성전금고에서 17달란트를 강탈한 사건이 발생한다. 유대인들은 그를 거지라고 놀리며 동냥을 해주는 퍼포먼스를 벌였다.

 

 

 

 

댓글

환전소 - 장기에 걸친 유럽의 역사적 화폐가치(작성중)

2020. 6. 15.

회계 단위

1리라(리브르)=1파운드=1쾰른 마르크 = 1굴덴 : 은 325그램에서 시작하여 화폐 단위로 정착
1리라 = 20솔도, 1솔도 = 12데나로(드니에)=1수.
Ex1) 17세기 초 10솔도로 아주 검소한 하루 끼니를 해결할 수 있을 정도.(이탈리아 북부). 포도주 1L 1.5-3 솔도. 빵 500그램 5솔도.
Ex2) 혁명 전 프랑스의 숙련공 하루 일당은 1리브르, 즉 20수.
Ex3) " 조선공 한 사람의 임금이 바르셀로나에서는 1784년의 20수(카탈루냐 수)였던 반면 카디스에서는 28수, 서인도로 항해히는 선박 위에서는 37.5수 그리고 아바나 에서는 112수(3페소 푸에르테)였다" 피에르 빌라르
1파운드 = 20실링, 1실링 = 12페니.
Ex)18세기 초 1파운드는 현재 100파운드 정도로 어림 계산
1굴덴 = 20 그로쎈, 1그로쎈 = 12페니
Ex) 1434년 석공의 일당은 8그로소. 일용직 4그로소 반

데나로, 그로쏘, 페니도 원래는 동전 이름이었으나 동전은 없어지고 회계 단위가 됨

주요 동전
- 카룰로스 대제 (781-794)때 무게 1 리라(libbra, 영국 무게 단위로 1파운드)의 은으로 240개의 데나로 동전(은 1.7g)이 주조됨. 이 때부터 '리라'라는 회계 단위 등장.
- 1194년 grosso : 베네치아, 제노바에서 주조된 순도 높은 큰 은화(1.5-2g). 마르세이유 1218, 피렌체 1230, 잉글랜드 1350년에 주조됨.
- 1252 플로린(피오리니) 금 3.5그램. 동로마제국의 금화인 베잔트화, 중동의 금화인 만쿠스화를 대체하기 위해 만듬.
- 1284 베네치아에서 플로린을 따라서 두카트화를 만듬. 플로린은 중북부 유럽에서 주로 쓰이고 두카트화가 인기가 있었음. 1두카트는 2리브르 = 40솔디. Ex) 1578년에 보댕에 의하면 포르투칼에서는 면도비가 연 15 두카트로 프랑스의 6배였다.
- 스페인의 경우 14세기 말 레알화가 은 3.4그램( 2 데나로)
- 페소, 탈러 : 은 27그램으로
- 1탈러 = 24그로쎈, 1그로쎈=12페니히 Ex) 1700년에 병사는 연 10탈러를 받음. 18세기 초 닭 한 마리는 2그로쎈, 수말은 20탈러.
- 에큐(프) : 4.06그램 금화 = 6리브르. 루이는 24리브르.
- 크라운은 5실링 동전, 기니는 21실링 동전
- 금과 은의 양 금속비는 1:12. 금이 은의 12배.

더 이전으로 가면 (기원 전후)

금은 은의 15배 가치를 가진다.
1드라크마 = 1데나리온 : 3.8그램 은화. 1일 품삯. 이틀에 하루 일한다고 보면 됨. 즉, 하루 번 돈으로 다음 날까지 쓴다.
참세 두 마리 = 1/16 데나리온
금 1세켈(shekel) : 노동자 4일 품삯. 세켈은 밀 180알의 무게로 은 1세켈은 8그램이 조금 넘는다. 은 60세켈인 1미나 단위로 거래되었다. (약 500그램) 세켈은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한다.

  • 귀족이 평민의 뼈를 부러뜨리면 은 1미나를 지급한다.(함무라비법전)

은1달란트 = 6000드라크마. 그리스의 삼단 갤리선 1척 건조 비용. 금의 경우 금 1달란트라고 한다.

  • 기원전 2세기 유대인 노예 9명의 도매가격이 1달란트, 방어성 하나에 대한 랜섬이 100-500달란트(전쟁비용)
  • 기원전 5세기 델로스동맹은 매년 5-600달란트를 모아 아테네 파르테논 신전에 국방비로 보관했다.

Text:
17세기
피렌체 : 일용직 원수입 300솔디 정도.(15리라)
영국 : 뉴턴의 대학 연봉은 60파운드. 그밖애 튜터 교습비 등이 있었다.

18세기 중반
***영국 : 아담 스미스는 글래스고우 학장시절 연봉 150파운드를 받음. 가정교사로 이직하고 연금 300파운드를 받음. 런던에서 8개의 방이 있는 집을 빌리는 데 연간 200파운드가 들었다. 로마 중심가에서 같은 조건이면 12파운드면 됐다. 콜리지는 그 당시 한 사람이 사람답게 살려면 250파운드가 필요하다고 했다.캔터베리 대주교의 연봉은 7천 파운드의 연봉을 받음. 보통의 주교는 3-400파운드를 받았다. 하급 성직자들은 30-50파운드였고 부제는 30파운드 미만이었으므로 다른 일을 병행해야했다. 비숙련노동자 주급은 5실링(지금 200파운드)으로 로빈슨 크로소우 초판 가격이다. 집안 하인의 1년 급료는 7-8파운드. 도서대여점 연회비는 12실링-1파운드.빵 한덩어리는 2.5펜스

***프랑스 :

"나는 아브빌의 방직공입니다. 아내와 함께 공장에 다닙니다. 열 살 짜리와 여덟 살 짜리 아이 둘을 기릅니다, 일주일에 엿새를 일하는데, 내가 하루에 20수(1리브르), 아내가 하루에 5수를 법니다. 일주일에 겨우 7.5리브를 법니다. 그 돈으로 집세, 식비, 옷, 광열비를 내면서 계산상으로는 일주일에 1리브르 정도 저축할 수 있겠지만, 누군가 아플 때도 있으니 돈을 모으기란 불가능합니다."(주명철, '계몽과 쾌락' : 이 가족의 경우 일주일 빵값은 2리브르 2수 정도였다.)

"물지게꾼은 파리에 2만 명 정도 있었다. 하루에 30번 정도 물을 나른다. 7,8층 되는 경우도 있고 한번에 1.5-2수까지 받는다. 2수를 받고 30번 오르내리면 3리브르를 번다."(주명철, '계몽과 쾌락')

"프랑슈 콩테의 젊은 귀족은 연봉 300리브르를 받으려 군인이 되었고, 육군 소위 브라즐로뉴는 원호연금 500리브르를 받으며 힘겹게 살았다. 당시 숙련 노동자가 하루에 1.5리브르를 벌었고, 인쇄공은 하루 2리브르 이상을 벌었다. 1년에 280일을 일해도 400리브르는 벌었다. 스트라스부르의 주교는 1년에 40만 리브르를 받았고, 재판장 몰레는 해마다 거의 35만 리브르를 받았다. 오를레앙공은 1740년에 금리 200만 리브르를 받았고, 혁명 전의 콩티공의 수입은 370만 리브르였다."(주명철, '계몽과 철학')


"코메디 프랑세즈 극장은 1716년부터 1782년 사이에 입장료가 거의 변동이 없어서, 가장 싼 자리가 1리브르에서 1.5리브르, 칸막이 좌석은 4-6리브르였다. 1760년대부터 생긴 로열박스는 연간회원권이 500리브르, 평생회원권이 3,000리브르였다."(주명철, '계몽과 쾌락')

콜베르는 여러 분야의 징세권 패키지를 경매에 붙였다. 예를 들면 소금세, 특별소비세, 소득세를 묶는 등. 1726년 경에는 6년에 한번씩 입찰을 갱신했다. 국가는 이 제도로 수입의 41-46%를 충당했다. 입찰보증금이 100만 리브르나 됐고, 1768년에는 156만 리브르였다. 징세업자는 왕에게 대출도 해주었다. 1755년에는 6,000만 리브르, 1768년엔 7,200만 리브르였다. 이자는 6%정도였다. 징세업자는 모두 40명이었다가 최대 87명까지 늘었다. 이들은 고정급 24,000리브르, 업무추진비 4,200리브르, 출장비 1,500리브르를 받았다."(주명철, '계몽과 쾌락')

***독일권
1773년 빈에서 피아노값은 300-700플로린. 고위직인 궁전 고문관의 연봉은 4,000플로린

19세기
1800 파리노동자 일당 7프랑. 샤르팡티에 문고판 3.5프랑
1824년 빅토르 위고가 파리의 작은 방 여섯 개, 하녀방, 호화로운 수세식 화장실이 딸린 집의 1년치 집세 625프랑. 값싼 식사 한 끼는 1프랑.

1830 런던의 숙련공 주급은 30실링. 수직공은 5실링. 저가 소설책은 5실링=60파운드

 

1831 파리에서 어지간한 부르주아로 살려면 한 해 6,000프랑이 필요했다. 숙련노동자는 1,000프랑을 벌기가 어려웠다. 

1868 파리 중간 계급 월 수입은 400프랑. 런던은 연 1,000파운드

1841 아일랜드 우체국 직원 연봉 140파운드. 하급장교 200파운드.

 

19세기 중반 미국의 중하위노동자는 주급 20달러를 벌었다 ㄷ학교수 연봉은 1,500달러. 일반적인 변호사의 연봉은 4,000달러

 

20세기

1911 1파운드=현재 100파운드 

 

(광고) 고교수학 기본서는 미니멈수학입문시리즈입니다. 수학(상)수학(하)수1수2 교보문고, 알라딘, 예스24에서 판매중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