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프_원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이사야 벌린, 리가, 칼리닌그라드, 발트해

2022. 2. 3.

"쾨니히스베르크[지금의 러시아 칼린그라드]에는 영국과 스코틀랜드의 계몽주의가 잘 알려져 있었다. 이러한 사정은 영국 해군이 전함 돛대의 재목으로 유연하면서도 튼튼한 목재를 썼다는 사실과도 무관하지 않다. 이런 용도에 적합한 것은 무역의 중심지인 쾨니히스베르크로 들어오는 발트 해 연안 지방의 목재였다. 이것은 항구에 주둔한 강력한 영국 해군을 위해 쓰였고, 늘 그렇듯이 상업적인 용도로도 전용되었다."(「저먼 지니어스」, 피터 왓슨)

 

쾨니히스베르크에는 많은 외국인들이 드나들었는데 칸트(1724-1804)의 가장 친한 친구 3명 중 한 명인 조지프 그린은 영국 상인이었다.  또다른 두 명은 조지프 그린의 동업자인 로버트 마더비, 시청 형사 테오도르 고트리프 히펠이었고 칸트는 이들과 농담하고 잡담하며 당구도 치며 보내는 시간을 즐겼다. 칸트는 40대 중반 정식 직업[대학교수]을 갖기 전 반백수 상태에서 당구로 부수입을 올릴 만큼 당구 실력이 좋았다.  특히 조지프 그린은 헐(Hull) 출신의 영국 상인으로 청어, 곡물, 석탄 등을 교역했는데 칸트의 자산 상담도 해주고 칸트와 흄, 루소 등에 대해 많은 대화를 나누고 쾨니히스베르크에 틀어박힌 칸트에게 외부로의 창문이 되어 주었다. 스웨덴보리라는 신비주의자의 책을 읽은 칸트가 그 사람이 제정신인 사람인지 만나보고 오라고 부탁했을 땐 그 임무도 수행했다.  '순수이성비판'(1781) 초고도 함께 윤독하기도 했다. 사실 칸트의 규칙성은 조지프 그린에게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1786년 그린이 죽었을 때, 칸트는 매우 슬퍼했다.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은 같은 쾨니히스베르크의 요한 게오르크 하만의 집요한 노력과 중재로 출판되었는데 아무도 그 책을 출판하려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금의 라트비아 수도인 리가에 있는 출판사에서 그 책이 나왔는데 이사야 벌린이 태어난 곳이 리가이다. 영국의 헐, 쾨니히스베르크, 리가 모두 옛 한자동맹의 주요 도시들이다. 

 

이사야 벌린(1909-1997)은 당시 제정 러시아의 리가 출신 유대인이었는데 그의 아버지도 영국과 리가를 오가며 조지프 그린처럼 무역에 종사했다. "제정 러시아는 한자동맹의 무역 도시라는 리가의 옛 정체성을 굳이 바꾸려 하지 않았고 문화와 상업 수단의 언어로 독일어도 계속 사용되고 있었다."(「이사야 벌린」,마이클 이그나티에프) 1850년대 바그너가 리가의 오케스트라 단장을 지냈고 190년에는 브루노 발터가 지휘자로 일했다.

 

제정 러시아 시대  리가의 성골은 러시아황제에 충성을 다하는 독일계 토지 귀족들, 진골은 독일 무역상들, 그 아래로 유대인 상인들이 있었고 평민층은 게토의 유대인들과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라트비아인들이었다. 이사야 벌린처럼 영화 감독 에이젠슈타인도 리가의 유대인 상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하급 유대인들은 토지 소유, 김나지움 이나 대학 입학 등이 금지되었지만 이사야 벌린 집안 같은 상급 유대인들은 그런 법률이 적용되지 않았다. 제정 러시아에서는 금지된 톨스토이를 읽을 수도 있었다.  이사야 벌린의 아버지 멘델은 랍비의 손자였고  주요한 유대 하시디즘인 루바비치 교파의 직계 자손이었지만  멘델의 젊은 시절 정체성은 러시아적인 것이었고 유대교적인 것이 아니었다. 하지만 멘델 벌린의 사업의 번창은 하시디즘 유대인 자본가 네트웍의 결과물이기도 했다. 이사야 벌린 자신은 그런 혈통에 대해 진저리를 치지만 20대 시절 옥스포드대학에서 동년배인 유대인 빅터 로스차일드의 학교(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까지 오갈 때 로스차일드의 경비행기를  이용할 정도로 친분이 있었던 것을 보면 이러한 집안 인맥이 작용한 듯하다.

 

1914년 7월 1차 세계대전이 터지고 독일어를 사용하던 리가의 유대인들은 동쪽으로 이주하도록 소개명령을 받았지만 이사야 벌린의 집안은 그럴 필요는 없었다. 1915년 독일 제국이 발틱해 연안을 봉쇄하자  아버지 멘델의 주 교역 제품인 목재를 서유럽으로 보내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그는 304제곱킬로미터에 이르는 삼림을 가지고 있었다. 벌린 집안은 페트로그라드로 이사를 한다. 

 

1917년 2월 혁명 당시 벌린 가족은 임시정부에 열렬히 환호했지만 권력이 의회에서 볼셰비키로 이동했다. 이 시기에 멘델은 어떤 영국 상인의 목재 운송을 포워딩해주고 받은 막대한 수수료를 런던의 한 은행에 예치해 둔다. 그 후 볼셰비키는 거주민 위원회를 구성하라고 했고 위원장은 보일러공이 맡았다. 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벌린의 가족은 마당을 청소하는 일 등을 하기 시작했다. 당시 이스라엘 건국에 관한 벨푸어 선언에 대해서는 벌린 가족들은 시큰둥했다. 볼셰비키는 멘델을 그의 삼림을 감독하고 정부에 목재를 공급하는 공무원으로 임명한다. 덕분에 멘델은 통행의 자유, 수색-체포 면제권, 식료품 쿠폰, 권총 등을 받는다. 벌린 가족은 여전히 음악당에서 세자르 프랑크의 심포니를 들으며 지낼 수 있었다. 

 

하지만 페트로그라드 거주 위원회에서는 사정이 더 악화되서 석탄의 부족으로 벌린 전 가족의 거주공간이 방 두 개로 축소됐다. 식량 사정도 악화됐다. 하지만 멘델은 그러한 궁핍함은 견딜 수 있었지만 레닌 정부의 비밀경찰(체카)들의 거들먹거림과 외부와 단절된 듯한 사회분위기를 참을 수 없었다.  당시 리가는 이제 독립 라트비아국의 수도였고 벌린 집안은 다시 고향인 리가로 이주를 한다. 이는 당시 볼세비키 정부도 용인한 정책이었다. 라트비아를 거친 후 벌린 집안은 런던으로 이주를 하게 된다.(1921) 이미 런던의 은행에 예치해 둔 돈으로 멘델은 전성기 때의 사회적 지위를 다시 회복할 수 있었다. 

 

가자마자 멘델의 아들인 이사야 벌린이 한 일은 런던의 입시 학원에 등록하는 일이었고 이사야는 명문고인 웨스트민스터에 가고 싶었지만 그건 학풍상 이사야 벌린이라는 이름을  로버트 벌린이나 제임스 벌린으로 바꿔야 가능했다. 결국 이사야는 유대인 쿼터제를 적용하지 않고 유대인 입학을 전면 허용하는 성공회 명문고인 세인트폴에 입학한다. 세인트폴에는 500명의 학생 중 70명 정도가 유대인이었는데, 성공회식 식사 기도 중에 입을 다문 채 있는 것이 허용되었다. 이사야 벌린은 주요 유대 명절은 지켰지만 유대교는 부인했고 종교적으로는 회의론자였다.  그는 옥스포드 명문 베이욜 칼리지에는 떨어지고 지금은 없어진 코퍼스크리스티 칼리지에 입학한다. 대공황 전까지 옥스포드 대학에서는 일종의 반항의 표지로 동성애가 유행이었다. 대공황 이후에는 정치와 경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갑자기 모두 공산주의에 몰려갔다. 그의 학교엔 정치학이나 경제학을 가르치는 사람이 없어서 정치학은 '더 타임스'를 읽고 독후감을 쓰는 수준이었지만 아무튼 이사야는 옥스브리지판 고시삼관왕인 우등졸업과 특별연구원 자격을 취득하며 가업 승계의 부담에서 벗어나고  영국의 최상위 엘리트코스를 밟게 된다.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aver?bid=6983535

 

이사야 벌린

아산 냉전자유주의 프로젝트 제1권『이사야 벌린』. 제정 러시아의 시대가 저물어가던 1909년, 라트비아의 리가에서 태어나, 1997년 영국의 옥스퍼드에서 세상을 떠난 유대인 출신의 정치철학자,

book.naver.com

 

http://www.yes24.com/Product/Goods/22492235

 

저먼 지니어스 - YES24

이 독일을 보라!칸트에서부터 헤겔, 니체, 프로이트, 마르크스, 아인슈타인…….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3세기 동안 무수한 성취를 남긴 독일 천재들,나치, 히틀러, 세계대전에 가려진 그 찬란한

www.yes24.com

 

댓글

마르코 10:17-31 부자 천국 , 낙타가 바늘귀

2021. 10. 10.

2021.10.10 연중 28주일. 최용준 신부님 설교 참고. 

 

17 예수께서 길을 떠나시는데 어떤 사람(one)이 달려와서 그 앞에 무릎을 꿇고 "선하신 선생님[Good Master], 제가 무엇을 해야 영원한 생명을 얻겠습니까?"하고 물었다. 18 예수께서는 이렇게 대답하셨다. "왜 나를 선하다고 하느냐? 선하신 분은 오직 하느님뿐이시다. 19 '살인하지 마라.''간음하지 마라.''도둑질하지 마라.''거짓 증안하지 마라.''남을 속이지 마라.''부모를 공경하여라.'한 계명들을 너는 알고 있을 것이다." 20 그 사람이 "선생님 그 모든 것은 제가 어려서부터 다 지켜 왔습니다."하고 대답하였다. 21 예수께서는 그를 유심히 바라보시고 대견해하시며 이렇게 말씀하셨다. "너에게 한 가지 부족한 것이 있다. 가서 가진 것을 다 팔아 [sell whatsoever thou hast]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어라. 그러면 하늘에서 보화를 얻게 될 것이다. 그러니 내가 시키는 대로 하고 나서 나를 따라오너라." 21 그러나 그 사람은 재산이 많았기 때문에 그 말씀을 듣고 울상이 되어 근심하며 떠나갔다.

 

젊은이(마태오 복음), 유대 지도자[ruler](루가 복음)로 알려진 젊은 부자는 예수께서 대견해하신 것으로 미루어 산헤드린의 원로와 같은 민족의 착취 계급에 속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고 겸손하고 진지한 사람으로 보인다. 아마도 그는 가난한 사람들과 이웃들에게 적절한 자선도 베풀었을 것이다. 그는 겸손하게 묻는다 제가 이만큼 살아왔고 하느님을 따랐으니 영원한 생명을 얻기 위해 이제 또한 무엇을 해야 합니까.    그런데, 가진 것을 '다 팔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어야 하므로 이 젊은 부자는 부에 관해 처음으로 전통적인 유대적 체계와 예수의 새로운 체계 간의 균열을 처음으로 경험하는 사람이다. 그래서 신약에서 처음 예수를 떠나는 사람으로 기록된다.   이 젋은이를 부르주아로 읽으면 안된다 그런 건 적어도 1500년 이상 기다려야 나타난다. 

 

 

이 때까지 제자들은 놀라지 않았다. 아마도 젊은이와 같이 부자는 아닐지라도 제자들은 직업과 가족을 버리고 따라온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제자들이 놀란 것은 바로 이어진 이 사건에 대한 예수님의 말씀이다. 

 

23 예수께서 제자들을 둘러보시며 "재물을 많이 가진 사람이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모른다."하고 말씀하셨다. 24 제자들은 이 말씀을 듣고 놀랐다.

 

 


이 말씀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entering into the kingdom of God]"에 관한 말씀이다. 하느님께서는 의미있는 떠남에 관하여 많은 이야기를 보여 주신다. 아브람은 하느님이 말씀하신대로 "고향과 친척과 아비의 집을 떠나" 보여 주신 땅으로 갔다. 이 때는 아내와 조카와 하란에서 모은 재산과 거기에서 얻은 사람들을 모두 거느리고 떠나서 가나안에 들어갔다. (창세기 12장) 아마도 제자들은 이것을 생각하고 놀랐을지도 모른다. 야곱이 라반을 떠나 다시 고향으로 갈 때도 모은 재산을 다 가지고 떠났다. 모세와 함께 애굽을 떠나 가나안으로 출발한 유대 민족은 아예 '이집트인들을 털어[they spoiled the Egyptians]"서 떠났다. (출애굽기 12:36)  어떤 경우에도 약속의 땅 가나안 땅으로 들어가기 위해 빈손으로 출발하진 않았다. 

 

29 누구든지 나를 위하여 또 복음을 위하여 집이나 형제나 자매나 어머니나 아버지나 자녀나 토지를 버린 사람은 30 현세에서 복을 받겠지만 집과 형제와 자매와 어머니와 자녀와 토지의 복도 백 배나 받을 것이며 내세에서는 영원한 생명을 얻을 것이다. 

 

 가진 것을, 평범한 농민 유대인들의 수준에 맞추어 '토지'로 표현했지만 이 부분은 창세기의 아브라함의 떠남과 도달함의 조건에 가진 것의 조건을 추가한 것이다.  예수님이 명하시는 새로운 이동의 의미와 조건은 열두 제자의 파견 장면(마르코 복음 6:7-13)에 담겨 있다. 예수께서는 모두가 제자이기를 원하신다. 

 

8 그리고 여행하는 데 지팡이 외에는 아무것도 지니지 말라고 하시며 먹을 것이나 자루도 가지지 말고 전대에 돈도 지니지 말며 9 신발은 신고 있는 것을 그대로 신고 속옷은 두 벌씩 껴입지 말라고 분부하셨다.

어떻게 그렇게 여행을 떠날 수 있을까? 제자들은 이미 다녀왔다. 마귀들을 많이 쫗아내고 수많은 병자들을 고쳐 주었다. (마르코 복음 6:13)

 

그것은 사람의 힘으로는 할 수 없으나 하느님은 하실 수 있는 일이다. 하느님께서는 무슨 일이나 다 하실 수 있다.  (마르코 10:27)

 

댓글

겔프(Guelf) 혹은 웰프(Welf) 왕가

2021. 10. 4.

오늘날 독일의 니더작센 주를 중심으로 했던 왕가로 그 분파인 하노버 선제후는 1714년부터 영국의 왕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신성로마제국을 선출할 때 하노버 선제후국의 수장인 영국왕도 선거권을 갖는다.

12-13세기에는 슈봐벤 지역의 호엔슈타우펜 왕가(1152-1254)와 라이벌 관계였다.

슈봐벤지역은 오늘날 독일 남서부 바덴뷔템베르크 주 동쪽을 중심으로 한 역사적 지역을 말한다. 서쪽엔 슈트라스부르가 있는 프랑스의 알자스가 가깝고 동쪽은 바이에른이다. 남쪽은 알프스 너머 이탈리아가 있다. 두 신성로마제국 황제인 프리드리히 1세 바바로사(재위 1155-1190)와 프리드리히2세(1220-1250)를 배출한 호엔슈타우펜 왕조는 13세기에 끊어지고 슈봐벤 지역은 다른 왕가들에 의해 분할되고 해체된다.

벨프왕가는 대대로 이탈리아의 밀란 국경 백작령을 맡았던 오베르텡기 가문에서 유래하고 이탈리아의 에스티 가문이 본류이다. 벨프왕가는 에스티가문 출신의 바이에른 공작 벨프1세가 하노버 선제후령 및 바이에른과 니더작센 지역의 부른스윅,뤼넨버그를 획득함으로써 성립한다. 이탈리아의 에스티 가문은 교황 그레고리 9세가 1240년 벨프가문과 합작하면서 16세기까지 페라라를 지배한다. 이때 교황을 지지한 세력을 뜻하는 겔프파는 겔프 왕가와 관련이 있고, 신성로마제국을 옹호한 세력인 기벨린파의 이름은 호엔슈타우펜 왕가와 관련이 있다.

벨프 왕가는 하인리히 사자공(the Lion Heart)에 이르러 신성로마제국 황제인 호엔슈타우펜 왕가의 외사촌형인 프리드리히 1세 바바로사를 능가했으나 1180년 경쟁에서 지고 바바로사는 바이에른을 비텔스바흐 가문에게 준다. 웰프왕가의 땅은 브룬스윅과 뤼넨버그, 하노버 선제후령으로 축소된다.

1147-1149년 슈봐벤공작으로 삼촌 콘라트 3세 황제와 2차 십자군원정을 다녀온 호엔슈타우펜 왕가의 프리드리히 1세 바바로사(재위 1155-1190)는 알프스 너머 이탈리아에 관심이 많아서 1154-1183 사이에 6번이나 대규모 원정을 했다. 바바로사는 호엔슈타우펜 왕가에 속하지만 어머니는 웰프가문 출신이다. 독일 지역에서 이탈리아로 가기 위해서는 뮌헨-볼차노-베로나를 거쳐 로마시대부터의 루트인 해발 1,375미터의 브레너 고개를 넘어야 한다. 그런데 그 길은 바이에른쪽이다. 바바로사는 부르군트 프랑슈콩테 여백작과 결혼하여 이탈리아로 가는 우회로를 확보한다.

시실리왕국은 시실리섬과 남부 이탈리아반도를 포함한다.시실리왕국은 999년에서 1139년에 걸쳐 노르만족이 남부 이탈리아에서 이슬람과 비잔틴 세력, 교황 세력을 몰아내고 성립시킨 노르만왕국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