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프_원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제1차 세계 대전과 미국의 반독일 정서의 발흥

2021. 10. 3.

 

"부어스틴에 따르면, '1880년대 미국의 야심 찬 젊은 역사가들과 정치학자들은 독일에 공부하려고 몰려갔다. 돌아올 때 그들은 박사학위를 가지고 왔다.'"(강준만, 미국사 산책 4)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1915년 5월 영국의 루시타니아호에 탄 미국인 128명이 독일의 U보트 공격으로 숨졌을 때도,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전쟁에 개입하지 않았다. 아일랜드계와 독일계는 미국이 영국과 동맹을 맺을까봐 걱정했다. 유대계 미국인 상당수가 독일계였는데 이들도 독일의 가족들을 걱정했고, 유대인을 가장 많이 탄압하는 제정러시아와 미국이 손을 잡을 것을 우려했다. 

 

독일이 무제한잠수함 작전을 벌이고 독일 외무상 짐머만이 멕시코에 보낸, 대미 전쟁을 부추기는 내용의 전문이 밝혀지자 1917년 4월 미국은 독일에 선전포고를 한다. 반독일 히스테리가 거세게 밀려왔다. 독일어 신문들을 폐간하자는 주장이 제기됐고 판매가 금지되기도 했다. 교육과정에서 독일어가 빠지는 학교가 생겼다. 도서관에서 독일어 책을 불태웠다. 델라웨어주, 몬태나주 등 몇 개 주에서는 독일어 교습을 금지시켰다. 대학에서도 독일의 위상이 쇠퇴했고 미국 문학이 탄탄한 위상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 1910년에 독일계는 500만 명이었고 이민자 그룹 가운데서도 가장 존경받고 높은 지위를 누린 집단이었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23594772

 

미국사 산책 5 - YES24

강준만 교수의 미국사에 대한 종합적인 소개강준만은 우리사회에서 다작으로 유명한 저술가이다. 18권으로 구성된 『한국 현대사 산책』과 10권으로 이루어진 『한국 근대사 산책』은 그의 자

www.yes24.com

 

댓글

셔우드 앤더슨, 「와인즈버그, 오하이오」와 대화주의

2021. 9. 30.

앤더슨의 와인즈버그, 오하이오」(1919) 서문을 읽고 바흐친의 대화이론(1929)이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을 떠올리는 사람은 나뿐만은 아닐 것이다. 평행이론같은 이런 현상은 작가들이 어떤 이론서나 매뉴얼의 주관적인 지침에 따라서 그런 것이 아니고 바흐친의 표현처럼 장르 자체의 객관적 기억에서 비롯된다. 

 

 

서문에 해당하는 「괴상한 사람들에 관한 책 (The Book of the Grotesque)」의 내용 : 

 

어떤 늙은 작가가 등장한다. 그는 반은 잠이 오는 상태에서 괴상한 사람들(the grotesque)을 보았다. 그리고 침대에서 기어나와 (creep out)  책상으로 가서 그 괴상한 살람들 중 한 사람으로부터 받은 인상을 바탕으로 책을 쓴다. 

 

태초에 아주 많은 생각들이 있었지만 진리와 같은 것은 없었다. 사람(man)이 진리를 만들었는데 그건 단지 막연한 생각들의 복합체였다. 부와 가난의 진리, 열정의 진리 등. 이것들은 모두 아름다웠다. 그런 다음 사람들(the people)이 나타나 한두 가지 진리나 여러 개의 진리들을 각자 낚아채고 그것에 의해 살아가려 하자 사람들은 '괴상한 사람들(The grotesque)'이 되고 진리는 거짓이 되었다.

 

「외로움(Loneliness)」의 내용:

 

하나의 그로테스크인 이너크 로빈슨은 와인즈버그 출신의 뉴욕의 화가다. 그는 와인버그의 길가에 나무 덤불 '뒤에' 말에서 떨어져 다친 여자를 그려놓고 방앗간에서 옥수수를 빻아서 농장으로 가던 쌔드 그레이백 노인이 방앗간에서 근심스럽게 바라보고 있는 이야기를 자기 방에 들락거리던 화가 친구들이 캐치하지 못한 것에 불편해한다.  심지어 말은 사라져서 그리지도 않았다. 게다가 친구들은 그 여자가 너무 아파서 소리조차 못지르는 것을 캐치하지 못한다. 이를 친구들에게 지적하려 하지만 그는 조리있게 말을 할 줄 몰랐다. 그 밖에도 그는 뉴욕의 거리에서 현실감 있는 뉴요커로 살려고 했지만 자기를 조리있게 표현하지 못해서 잘 안되었고 다시 그의 방으로 기어 들어오곤(creep off) 했다.  

 

그는 방의 문을 잠그고  상상으로 자기와 진지한 대화를  하는 두 다스의 사람들로 그의 방 안을 가득 채웠다. 그의 살롱은 의미있는 대화로 풍부했고 그는 언제나 그 살롱의 주인공이었다. 

 

그러다가 하숙집의 어떤 여인과 사귀게 되었는데 그 여인이 방에 들어왔다. 그 여인은 실제 사람이었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이너크 로빈슨은 그녀를 좋아했지만 방이 너무 좁다고 생각했다. 그녀에게 그가 자기의 방에서 얼마나 큰 사람인가를 이해하도록 퍼부었다. 그녀는 이해했지만 이해하지 못했고, 그는 그녀를 원했지만 원하지 않았다. 그녀는 방을 빠져 나갔는데 방 안의 모든 것들이 다 그녀와 함께 빠져 나갔다. 이제 이너크 로빈슨은 완벽한 혼자가 되었고 그의 방에는 케로신램프 하나와 탁자, 간이 침대만 남아 있었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3785317&start=pnaver_02 

 

와인즈버그, 오하이오

부클래식 22권. 서로 연관이 없어 보이는 이십여 편의 단편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작품은 모험, 선생님에서는 여성들의 억눌린 성적 욕망을, 손에서는 동성애를 연상시키는 이야기를 다루는 등

www.aladin.co.kr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41380278 

 

도스또예프스끼 시학의 제(諸)문제

도스또예프스끼 시학의 제(諸)문제

www.aladin.co.kr

(광고) 고교수학 기본서는 미니멈수학입문시리즈입니다. 수학(상)수학(하)수1수2 교보문고, 알라딘, 예스24에서 판매중입니다. 

댓글

셔우드 앤더슨의 「와인즈버그, 오하이오」(1919) 의 장르 구분

2021. 9. 25.

셔우드 앤더슨의 「와인즈버그, 오하이오」(1919)는 25편의 단편이 각각 내용적 연관 관계를 가지면서 하나의 책으로 구성된 작품이다.  원래 구성된 작품들은 「매시즈」(The Masses), 「세븐 아츠」(The Seven Arts), 「리틀 리뷰」(Little Review) 등에 연재되던 단편들이다. 

 

앤더슨은 미국인의 삶은 "느슨하고 유연한 무엇"(a loose, flowing thing)으로서 "인생에 짜여진 이야기는 없다"(There is no plot stories in life.)고 생각했다. 

 

"소설(novel)이라는 문학 형식은 미국 작가에게는 맞지 않으며, 그 형식은 다른 나라에서 빌려온 것이라고 나는 가끔 생각해 왔다. 미국 작가에게 필요한 것은 새로운 느슨함(looseness)인데, 나는 「와인즈버그, 오하이오」에서 이 느슨함을 나만의 형식으로 만들었다." (셔우드 앤더슨, 회고록)

 

앤더슨은 이야기들인 「와인즈버그, 오하이오」가 이야기들이 서로 속해 있으며 하나로서 소설같은 것("something like a novel")이라고 한다. 여기서 소설(novel)은 장편 소설을 의미한다. 포레스트 인그램(Forrest Ingram)은 이러한 형식을 "short story cycle"로 명명한다. (1971) 

 

이수미는 인그램의 "short story cycle"을 "단편소설집의 사이클"로 번역한다. 그런데, "roman-cycle"을 "연작소설"로 번역한 용례가 있다. 그러므로 "단편연작소설" 정도로 보면 될 것이다. 

 

문학 장르에서 "cycle"은 「아더왕 이야기」(Arthurian Cycle)등에 사용된다. 이런 용법은  「EPIKOS KYKLOS」(epic cycle)에서 온 듯하다. . 이를 서사시권 敍事詩圈으로 번역한 기록이 있는데 「에피코스 키클로스」는 일리아드, 오디세이 전후의 트로이 전쟁 이야기들을 이루는 작은 이야기들 전집인데 전해지지 않는다고 한다.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56429022 

 

네이버 학술정보

"단편소설집의 사이클"로서 단 리의 『옐로우』연구

academic.naver.com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30558&cid=60657&categoryId=60657 

 

연작소설

독립된 완결 구조를 갖고 있는 일군의 작품들이 일정한 내적 연관을 지닌 채 연쇄적으로 묶여 있는 소설 형식을 가리킨다. 기법의 측면에서는 토도로프(Tzvetan Todorov)의 용어인 '사슬식 배열', 즉

terms.naver.com

https://en.wikipedia.org/wiki/Epic_Cycle

 

Epic Cycl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History of the Trojan War told in poems The Epic Cycle (Greek: Ἐπικὸς Κύκλος, Epikos Kyklos) was a collection of Ancient Greek epic poems, composed in dactylic hexameter

en.wikipedia.org

http://www.yes24.com/Product/Goods/24338447

 

와인즈버그, 오하이오 - YES24

미국 현대 소설의 선구자 셔우드 앤더슨 대표작산업화 시대 고독과 소외를 섬세하게 포착한슬프고 아름다운 그로테스크의 마을미국 현대 단편문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셔우드 앤더슨의 대표작

www.yes24.com

 

댓글